어떤 선생님, 강사, 교수자를 채택할 수 있을까?(1)

Haewon

한국어를 배우는 타문화권이 아닌

한국어 교원 양성을 위해서 기존 과정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대안을 제시하고 싶다.


기존 교육은 각 언어권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 누군가를 가르친다는 것은 상대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을 수반한다.

상대방에 대한 이성적 분석이라던지 깊이 있는 이해가 효율적인 전략을 낳고 시간과 돈을 절약할 수 있는 최적의 학습을 제시한다.

언어인류학과 관련된 지식이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한국의 사회, 역사, 문화에 대한 깊은 지식과 깊이 있는 통찰을 요구한다.

동아시아 나아가 전 지구적 관점에서 한반도 고유의 그것을 어떻게 형성하게 되었는가에 대해 심도 깊은 이해가 수반된다.


조금 더 욕심을 내보자면 학습자의 학습을 고취시킬 수 있는 학습론적 방법론과 관련된 사전 연구에 대한 배경 지식, 자기 표현과 의견 전달력을 향상시킬 시킬 수 있는 경험 및 노하우, 방법론을 요한다.

 

내가 받았던 교육을 상기해 보면 다소 피상적이었다는 생각을 떨치기 어렵다.

특히 다양한 사회 문화권에 대한 교육이 아쉬웠던 듯 싶다.


단순히 한국어는 '이렇다.(국어 연구 교육자들의 이론에 근거한 정리 - 타자에 전제 부족)'는 입지와 '~ 부분을 한국어 학습자는 힘들어 한다.(왜 그럴지에 대한 함의 부재) 식의 컨텐츠로는 부족하다.

물론 현장에서 끊임 없이 연구, 개발, 강구의 노력을 이어가는 한국어 교수자의 자세도 필요하다.

专栏文章仅为讲师个人观点,不代表 Cafetalk 立场。

回应 (0)

登录之后,添加评论 登录 »

来自:

住在:

授课种类

讲师会的语言

韩语   母语程度
英语   接近母语程度
日语   只能说一点

Haewon 讲师的人气专栏

« 讲师专栏首页
在线客服咨询